강성철 풍·수해분야 방재전문가           ​​​​​​​전) 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장
강성철 풍·수해분야 방재전문가         
전) 산림청 영주국유림관리소장

최근 10년(2012~2021년)간 산사태로 총 2,603ha의 산림이 피해를 입었고 월별로는 8월 (1,271ha, 48.8%)과 9월(644ha, 24.7%)에 주로 발생되었으며, 지역별로는 영남(912ha, 35%)과 중부지역(677ha, 26%)에 피해가 집중되었다.

또한 기후변화로 ’19년 가을장마, ‘20년 역대 최장기간 장마, ’21년 지역별 편차 등 산사태 피해 시기와 지역 예측이 매우 어려워지고 있다.

금년도는 집중호우와 태풍의 수가 증가하고 장마기간이 늘어나는 등 산사태 예방에 취약한 기후환경으로 변화고 있다는 예측이다.

특히, 봄철 대형산불 피해지역에서의 토사유출이 크게 우려된다. 산불피해지역은 산불로 식생이 타고 없어 표토가 노출되었고 산불재로 인한 토양공극 감소로 불투수층이 형성되어 지표유출과 토층침식이 증가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산불 후 지반이 약화되어 우기 시 산불피해지역의 급경사지 붕괴 위험도 증가된다. 2018년에 국가재난안전연구원에서 산불발생 전·후의 사면 안정성을 해석한 결과 산불로 인해 안정율이 약 20%정도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 후유증 중에서 가장 무서운 것은 ‘산사태’라는 사실이다. 그 실례로 2000년 동해안 산불피해지인 강릉시 사천에서 2002년 태풍 ’루사‘에 의한 큰 피해를 입었다. 또다시 이러한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대형 산불이 발생하였던 울진 산불 피해지에 대한 철저한 현장 조사를 실시하여 인명피해가 예상되는 인가 및 생활권의 수계 중심으로 여름철 우기 전에 위험요소를 제거하고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등 2차 피해를 막아야 할 것이다.

산사태 발생 시는 전문가로 구성된 ’산사태원인조사단‘을 투입시켜 산사태 피해현황 및 발생원인 조사·분석, 피해지 복구방안 등 신속·정확한 원인조사와 견실한 응급복구를 실시해야 한다. 그리고 산불현장에서 탄 산불 재 등 잔재물이 계곡을 따라 하천과 바다로 유입되어 해양생태계 파괴로 이어지지 않도록 특단의 대책도 병행돼야 한다.

산사태로부터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우기 전 산사태취약지역 중심으로 사방댐 및 계류보전사업 등 재해예방 시설과 산사태주의보 및 경보 예측정보를 24시간 전에 제공하여 신속한 주민대피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고도화해서 국민이 안심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도록 국가는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진2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