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 년 째 군 금고에 낮잠을 자고 있는 원전특별지원금 사업계획 수립 방법을 놓고 군이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97년 말 이른바 "139억원 사건"으로부터 민선 2기를 지나는 동안 원전특별지원금은 "뜨거운 감자"처럼 애물단지로 취급돼 왔다.

민선3기 김용수군수는 공약사항으로 원전특별지원금 사업계획을 마무리하겠다고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민선 3기 1년이 지난 지금 여전히 이 돈의 사용처를 놓고 부심하고 있는 모습이다.

군민들은 특별지원금을 "군민의 목숨과 맞바꾼 돈"으로 규정하고 수 년 전부터 군과 군의회의 움직임에 주시하고 있다.

군민들은 "목숨과 맞바꾼 것"인 만큼 "여기에 찔끔, 저기에 찔끔" 식이 아니라 공공의 생산가치를 충족시킬 수 있는 주민 숙원사업에 투자되기를 바란다.

최근 군의회가 의원들의 개별적인 의사를 담은 "원전특별지원금 사업계획안"을 군 집행부에 제출했다고 한다.

여기에는 의원 과반수 이상이 "지역별로 15억원씩을 배분하고 나머지는 군 일반상수도 사업과 같은 현안사업 해결에 투자할 것"을 제시한 내용이 담겨있다고 한다.

그러나 정작 군민들이 주시하는 것은 사업명이 아니라 사업계획 수립에 군민의 의사를 얼마나 폭넓게 담아내는냐에 있는 것임을 잊지말아야 할 것이다.

이같은 군민들의 요구에 부응키 위해서는 "백지상태의 주민공청회"가 선결되어야 한다.

특히 공청회가 종전처럼 선정된 사업에 대한 의견 개진이라는 "눈가리고 아웅"식이 되어서는 안된다.

공청회를 통해 크고 작은 낱낱의 주민 의견을 전수 수용한 뒤 이의 생산성과 타당성에 대해 전문용역을 거쳐 최종 확정할 때 "군민의 생명과 맞바꾼 것"이라는 주민들의 인식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군의회의 안도 하나의 의견제시로 받아들여지면 된다.

울진핵폐기장문제로 주민들 간 갈등양상이 폭넓게 자리잡고 있는 차제에 군민과 군의회, 군 집행부 그리고 지원법 관련 지역심의위원회 모두가 특별지원금의 사업계획 수립을 위해 공청회라는 형식을 빌어 머리를 맞대고 결과물을 도출하는 일은 군정의 주민참여라는 민주자치의 실천적 성과이자 군민통합을 이끌어 내는 유효한 방법임을 유념하기 바란다.
저작권자 © 울진2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