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도 5.2의 지진에 이은 여진이 연이어 발생하자 지역 주민들이 크게 불안해하고 있다.

1982년 울진 북동 45km 해안에서 발생한 4.7규모의 지진과 2001년 동남동 50km 해역에서 발생한 4.1규모의 지진을 떠올려 볼 때 울진은 이미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님이 분명하다.

울진주민들이 불안해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다름아닌 원자력발전소 때문이다.

사실 주민들은 원자력발전소가 어느 정도의 지진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시공되었는지 알지 못한다. 심지어는 지진 발생시 어떻게 대피해야 하는지에 대한 상식을 가진 이도 거의 없는 형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울진원자력본부를 포함한 관계 당국의 대처는 매우 미온적이다. 만약의 사태에 대비한 대책이란 원자력발전 자체가 불완전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해야 함에도 원전측은 매번 "지금까지 안전했으며, 앞으로도 안전할 것"이라는 견해만을 쏟아내고 있다.

"안전하다"는 믿음을 가진 조직에서 "안전하지 못한 경우"에 대비한 완벽한 대책이 나올 수 있을지 궁금하다.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울진민간환경감시위원회가 긴급회의를 열고 이와 관련한 비상기구 설립과 원전 방문조사 등을 결의한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이참에 지진 등 각종 원전사고를 가상한 전주민 대피훈련 계획 수립과 함께 원전 최인근 지역에만 배포되고 있는 방독면 등 대처장비의 확대 보급도 고려했으면 한다.

최근 핵폐기장 자율신청 마감 시한에 맞추어 울진지역에서도 그에 대한 유치신청이 있었다.

지역 내에는 "핵은 위험하며, 그 피해는 영원하다"고 지적하는 반대파가 있는가하면, "핵폐기장을 통한 지역발전"을 얘기하는 찬성파도 분명히 존재한다.

두 가지 생각이 공존하고 있는 울진의 현실에서 과연 안전성 문제에 대한 주민들의 고려는 어느 정도 수준인지 궁금하다.

한수원과 정부는 현재 가동중인 원전에 대한 주민감시기구의 자유로운 감시활동 보장과 "완벽하지 못한 만약의 사태"에 대비한 "완벽한 대비책"의 강구 등을 선행한 후 핵폐기장문제를 거론하는 것이 옳지 않을까?

원전 안전성에 대한 지금까지의 한수원과 정부의 자세는 지나치게 자신만만하거나 솔직하지 못한 것, 둘 중에 하나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저작권자 © 울진2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