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소 주변(5km 이내)에 거주하는 주민들 중 특히 여성들의 갑상선암 발생률 상대 위험도가 원거리에 거주하는 사람들에 비해 2.5배 높다는 정부의 조사결과가 나와 원전운영에 대한 경종을 울린다. 또 원전으로부터 5~30km 근거리에 사는 여성들의 갑상서암 발병률도 원거리에 사는 주민들에 비해 1.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원자력 영향․역학연구소는 12월12일 서울 삼성동 라마다호텔에서 ‘원전 종사자 및 주변지역 주민 역학조사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원전 주변 주민에 대한 암 발생률이 공식적으로 조사 보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발표자(연구소) 측은 조사결과에 대해 “원전 주변지역 주민의 ‘모든 암’ 발병위험도는 대조지역 주민에 비하여 남녀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원전 주변지역 ‘방사선 관련 암’ 발병위험도 역시 대조지역에 비해 남녀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며 “‘원전 방사선’과 주변지역 주민의 암 발병 위험성간에 인과적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는 과학적 증거는 찾을 수 없었다(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난 여성 갑상선 암의 경우는 ‘방사선 이외의 요인’으로 분석 추론된다고 밝혔다)”고 결론을 내려, 정부가 오히려 원전주변 주민에 대해 불신과 혼란을 야기한다는 지적이다.

이번 연구는 1989년 영광원전 주변 지역 주민이 소위 ‘무뇌아’를 유산하는 사건이 발생한 이후, 1991년부터 2011년까지 20년간 진행됐으며 한국연구재단을 통해 약 118억 원의 예산이 소요됐다. 이날 발표자 측은 오히려 “20년 전 정부의 대국민 약속을 지킨 것”이라고 강조해 설명회에 참석한 해당 지역의 주민들과 환경단체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원전주변지역, 5~30km 근거리지역, 원거리지역으로 구분 36,176명 대상. 원전주변지역 여성 감상생암 발생률 10만명당 61.4명으로 원거리 거주 여성 10만명당 26.6명에 비해 2.5배 높아
연구팀은 현재 원전이 가동 중인 영광과 월성 고리 울진의 주변 지역과 5~30km 근거리 주민, 양평 충주 함안 산청 지역의 원거리 주민으로 나눠 비교 조사했다. 조사는 5㎞ 미만 거주 여성 6,876명, 5~30㎞ 이내 5,880명, 30㎞ 초과 8,426명 등 여성 21,182명을 비롯해 총 36,176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우리군은 남자 668명, 여자 1,654명 등 2,322명이 조사에 포함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1992년부터 2008년까지 이들 지역에서 암에 걸린 환자는 2,298명, 이 가운데 방사선에 민감한 암에 걸린 환자는 1,372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원전에서 5㎞ 미만 근거리에 사는 여성의 갑상샘암 발생률은 10만명당 61.4명이었다. 이는 30㎞ 이상 원거리 거주 여성(10만명당 26.6명)에 비해 2.5배 높은 것이다. 남성은 큰 차이가 없었다. 유방암도 원전 5㎞ 미만 거주 여성의 발생률이 30㎞ 초과 거주 여성에 비해 1.5배 높았다. 그러나 유방암 발생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고 평가됐다.조사 결과에 따르면 1992년부터 2008년까지 이들 지역에서 암에 걸린 환자는 2,298명, 이 가운데 방사선에 민감한 암에 걸린 환자는 1,372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 전문가 “원전주변지역 방사선 관련 암 발병 위험도는 원전과 무관하다” 對 “방사선 영향에 의해 원전주변지역 갑상생암 방병률이 뚜렷하게 높다” 의견 맞서
이날 연구 발표한 안윤옥 서울대 의대교수는 “원전 주변지역 주민의 방사선 관련 암을 비롯한 모든 암 발병 위험도는 대조지역 주민에 비해 남, 여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고 밝혔다.

안 교수는 “원전 주변지역 여성에게서 갑상샘 암 발생률이 대조 지역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은 사실이나, 원자력발전소 때문에 이러한 경향을 나타냈는지는 의문이다”고 밝혀 논란을 부추겼다.

그는 “원전 주변 지역 주민의 경우 거주 기간과 암 발생률이 비례하지 않고, 만약 방사능 때문이라면 유방암 발생률도 같은 경향을 보여야 하는데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며 “추측하기로는 원전 주변지역 주민들이 건강 검진을 더 많이 받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안 교수의 발표에 대해 즉각 반박이 제기됐다. 김익중 동국대 의대 교수는 “발표자 측에서 교과부에 제출한 보고서를 보면 원전 주변 지역 주민들의 의료기관 이용률이 대조 지역에 비해 더 낮게 나온다”며 “최근 정기검진이 일반화된 상황에서 원전 주변 지역만 발견률이 더 높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김 교수는 “방사선 영향에 의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이 갑상샘암이고 그 다음이 유방암이라는게 의학적 상식”이라며 “이 때문에 원전 주변 지역의 갑상샘암 발병률이 뚜렷하게 높게 나타난 것이라고 보아야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한국연구재단 측 “연구 결과에 대한 검증위원회 민강위원 참여 연내 설치, 내년 지역설명회 개최하겠다” 입장 밝혀...

“원전 주변지역의 암 발생률은 다른 지역과 큰 차이가 없다”는 조가 결과 발표는 원전 지역 주민들의 반발을 야기시켰다. 또 원전 주변 지역 역학조사 결과 발표를 해당 지역이 아닌 서울에서 진행하는 것에 대한 발표회에 참석한 주민들과 시민단체의 항의도 거셌다.

설명회에 참석한 영광지역 시민단체 관계자는 “영광 지역만 해도 의사들이 ‘이곳은 암이 왜 이렇게 많은지 모르겠다’고 말한다”며 “이날 발표가 끝나고 나면 정부의 공식 발표자료가 되는데 ‘원전과 암 발생은 관련 없다’는 정부 지원 연구 내용은 인정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또 설명회에 참석한 원전 지역주민들은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역학 조사 결과 발표라면 당연히 해당 지역에 와서 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지역에는 제대로 알리지도 않고 서울에서 설명회를 여는 것은 지역 주민들은 무시하는 처사다. 지역 설명회를 열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구결과에 논란이 생김에 따라 안 교수팀과 한국연구재단은 검증위원회를 설치하기로 잠정 합의했다. 검증위에는 환경단체 등이 추천하는 민간위원도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김 교수는 “오늘 발표된 내용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검증하기 위해 지역 주민과 시민단체가 추천하는 전문가가 포함된 검증위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안윤옥 교수도 “독립적인 전문가로 구성된 제3의 검증위가 필요하다”고 의견을 같이했고, 연구를 주관한 한국연구재단 측은 “연내에 검증위를 구성하도록 하겠다”고 밝혔고, 지역설명회에 대해서도 “내년 중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저작권자 © 울진2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