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소에서 유체와 맞닿는 부품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장치가 원자력재료기술개발팀(연구책임자 김흥회박사)에 의해 개발되어 원전의 표면처리 기술과 동적 손상평가를 통한 부품재료의 건전성이 상당부분 확보될 것으로 보인다.

이 장치는 물입자(반경 250μm)의 연속발사가 최대발사속도 500m/sec로 가능하며, 컴퓨터로 자동제어되어 원자력발전소의 `터빈 블레이드`나 `펌프`등에서 발생하는 유체침식에 의한 성능평가 및 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모사장치이다.

발전소등에 쓰이는 기기는 유체에 의한 충격과 부품들이 서로 맞닿아 재료의 설계수명이 예상보다 훨씬 짧아지는 것이 일반적인 특성이지만, 유체에 의한 침식을 평가할 수 있는 장치는 미국, 일본, 영국 등에서 각국의 사용용도에 맞추어 제작되었기 때문에, 지금껏 국내에서 개발된 재료의 손상평가 실험은 사실상 불가능했다.

과학기술부는 이번에 개발된 `유체기기 손상평가 모사장치`는 열교환기, 펌프날개(impeller)재료나 유체내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부품의 저항성 측정 등으로 유체기기의 수명예측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명동 기자 (mdlee@uljin21.com)
저작권자 © 울진2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